본문 바로가기

데이터분석3

[미니 프로젝트] KREAM 온라인 게시판 활성화 전략 프로젝트 프로젝트 개요목적유저가 게시판을 이용하는 동선에서 발생하는 현상 파악, 유저가 주목하는 스타일을 분석하여 온라인 게시판을 활성화 시키는 전략 제안성과• 해시태그 중 챌린지를 적절하게 활용하면 게시판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 • 게시판 내 상호작용과 구매와의 상관성이 뚜렷하지 않음 (추가 지표 설정 필요) • 신발 콘텐츠에 흥미가 많고 간절기에는 피크닉, 인생샷 등 야외활동에 대한 관심이 있음 • 위의 분석 결과를 반영한 5가지의 콘텐츠 중심의 온라인 게시판 활성화 전략 제안기술Python, Pandas , Numpy, Seaborn, Matplotlib , Apriori 1. 분석 목표KREAM의 스타일 게시판을 이용하는 유저의 이용 동선을 분석하여 스타일 게시판의 활용도를 높이는 인사이트를 발굴하기 위함... 2025. 1. 7.
듀오링고에서 DAU를 분석하는 법: Duolingo Growth Model 다음 글은 듀오링고 공식 블로그의 내용을 읽고 남기는 후기 글이다.  듀오링고는 필자가 거의 매일 애용하는 언어 학습 어플이다.166일 동안 별다른 피로감 없이 어플을 꾸준히 사용해 온 것만 봐도듀오링고는 단순한 학습 어플이 아니라는 것을 느꼈다. 얼마나 유저의 행동을 세밀하게 분석했으면유저가 자발적으로 더 오래, 더 자주앱을 사용하게 만들 수 있게 된 걸까? 따라서 본 게시물에서는 듀오링고가 유저의 행동을 어떻게 분석하는지,그 중 DAU(일일 활성 사용자)라는 큰 지표를 어떻게 세분화해서제품 성장의 단서를 찾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https://blog.duolingo.com/growth-model-duolingo/# Meaningful metrics: How data sharpened the.. 2024. 11. 19.
[데이터리안] 5월 세미나 -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데이터 분석가 커리어 다음 글은 데이터리안 5월 세미나를 듣고 남기는 후기입니다. 목차0. 세미나 소개1. 생성형 AI 분석 활용 사례    a. NBA 선수가 되기 위한 조건은?2.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분석의 미래     a. 개인 관점     b. 조직 관점3. 후기4. 참고 0. 세미나 소개이번 5월 세미나는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데이터 분석가 커리어] 라는 주제이다. Chat GPT, Clova X를 비롯한 생성형 AI 시대에서 데이터 분석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라,, 꽤나 구미가 당겼기 때문에 고민 없이 세미나를 신청했다. 참고로 필자는 과제를 할 때 생성형 AI를 이리저리 잘 사용하는 사람 중 하나이다. 특히 Chat GPT는 질문을 잘 만하면 답변의 퀄리티가 좋아지는 걸 요새 느끼고 있다.근데 퀄리티가 좋아.. 2024.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