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 Seminar5 [데이터리안] 5월 세미나 -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데이터 분석가 커리어 다음 글은 데이터리안 5월 세미나를 듣고 남기는 후기입니다. 목차0. 세미나 소개1. 생성형 AI 분석 활용 사례 a. NBA 선수가 되기 위한 조건은?2.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분석의 미래 a. 개인 관점 b. 조직 관점3. 후기4. 참고 0. 세미나 소개이번 5월 세미나는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데이터 분석가 커리어] 라는 주제이다. Chat GPT, Clova X를 비롯한 생성형 AI 시대에서 데이터 분석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라,, 꽤나 구미가 당겼기 때문에 고민 없이 세미나를 신청했다. 참고로 필자는 과제를 할 때 생성형 AI를 이리저리 잘 사용하는 사람 중 하나이다. 특히 Chat GPT는 질문을 잘 만하면 답변의 퀄리티가 좋아지는 걸 요새 느끼고 있다.근데 퀄리티가 좋아.. 2024. 5. 15. 유의수준이 0.005인 세상은 어떤 곳일까? : <Redefine statistical significance> 논문 요약 목차주장 : 유의수준을 0.05에서 0.005로 변경하자증거의 강도 측정하는 방법0.005를 선택해야하는 이유예상 반대 의견결론참고자료 유의수준이란 귀무가설을 기각하기로 결정하는 확률의 기준값을 의미한다.유의확률(p-value)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하고,크면 귀무가설을 채택하는 방식으로 가설 검정이 이루어진다. 현재 많은 과학 연구에서 0.05의 유의수준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고 있는데흥미롭게도 유의수준을 0.005로 재정의해야한다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견하였다. 안그래도 최근 통계와 관련된 책 (새빨간 거짓말, 통계)를 읽고 통계에 대해 관심이 생긴터라,본 논문을 읽으면서 유의수준과 가설 검정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공부하고자 한다. 본 글은 해당 논문의 중심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2024. 4. 23. 책임감 있는 데이터 분석가로 성장하기 위한 지침서, 『새빨간 거짓말, 통계』를 읽고 (3) 지난주 '통계로 눈을 속이는 방법'으로 오차, 그래프, 억지 숫자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주는 평균값, 백분율을 활용하여 통계를 조작하는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할 겸 통계 조작으로부터 피할 수 있는 방법과 소감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새빨간 거짓말, 통계』 독후감의 다른 내용이 궁금하다면? 1주차 계속해서 의심해라! 『새빨간 거짓말 통계』를 읽고 (1) 우리는 복잡한 통계 숫자로 가득찬 세상에서 살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효과율은 95% 육박" "1인 가구 빚 규모 1년 새 37% 감소" 전문가가 아닌 이상 일반 사람들은 이런 뉴스 기사에서 나온 수치를 data-analytics-nayoonee.tistory.com 2주차 통계로 눈을 속이는 법 『새빨간 거짓말.. 2024. 4. 21. 이전 1 2 다음